'Io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99건
- 2021.11.10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 2021.11.09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 2021.11.08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 2021.11.05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 2021.11.05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 2021.07.17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6.25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
- 2021.06.25 시놀로지 C2 Storage for Hyper Backup
오늘은 1편 검토 및 구매기에 이어서, 진짜 핵심인 2편 설정 및 테스트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UniFi LTE Pro(이하 ULP)가 국내 도착 전 알뜰폰 허브라는 곳을 통하여 구입한 LG U+ USIM을 조심스럽게 슬롯에 삽입한 후,
ULP를 유니파이 컨트롤러에 연결(adopting)을 시도하였으나 USIM 자체를 인식하지 못해서,
'정말로 X 됐다'는 심정으로 폭풍 구글링을 해보자, 지구 상엔 나와 비슷하게 삽질하는 놈이 반드시 있었는데,
나는 유니파이 컨트롤러에서 수동 Backup/Restore를 위해서 클래식 UI를 즐겨 사용하는데,
ULP 연결을 위해선 New UI를 권유하여 그대로 따라 하자 첫 번째 산은 넘겼다. - https://bit.ly/3mYVpzN
연결(adopting)과 USIM 인식까지는 넘어갔으나, LG U+ LTE망을 계속 탐색만 하는 현상이 발생해서,
내 아이폰의 KT USIM으로 교체하여 테스트를 해보니 한 번에 KT LTE망에 연결되고 대기 상태가 되더라.
우리 집 4 식구는 모두 KT 사용자라 급 IoT 카페에 도움을 요청하니 멀리 안산에서 'CORSAIR'님이
SKT USIM, SKT 알뜰폰 USIM, LG U+ 태블릿 USIM을 가지고 오셔서 함께 테스트를 하였는데,
결론은 KT와 SKT USIM은 정상적으로 ULP에 연결되나, LG U+ USIM은 연결되지 않아서,
'CORSAIR'님과 테스트해서 확실하게 검증된 SKT 7 모바일 알뜰폰 유심을 신규 개통하여,
ULP에 SKT USIM을 삽입하고 전원을 연결하자, WCDMA를 거쳐서 LTE에 철커덕 연결된다. 썩~을
ULP 설정은 통신사별 APN 주소(SKT는 'lte.sktelecom.com') 입력은 필수이며,
월 데이터 사용량 한계치(Limit)와 경고치(Warning)를 넣어 주는 것은 선택이다.
그러면 유니파이 컨트롤러의 메인 화면에 ULP가 나타나고, 인터넷 메뉴에도 ULP가 표시된다.
평상시 KT 인터넷 회선으로 서비스를 받을 땐(왼쪽 화면) ULP는 대기 상태로 있다가,
인터넷 장애가 발생하면(오른쪽 화면) ULP가 활성 상태로 바뀌며 LTE망으로 서비스를 받게 된다.
KT 인터넷 회선을 라우터 WAN 포트에서 뽑으면 대략 1-2초 후 SKT LTE망으로 자동 전환이 되었으며,
다시 KT 인터넷선을 연결하면 비슷하게 1-2초 후 KT 인터넷망으로 자동 원복이 되더라.
빨리 테스트를 하고픈 마음에 마누라가 인터넷 강의를 듣는 줄을 까맣게 잊고서,
인터넷선을 2-3번 뽑았다가 다시 연결했는데, 쉬는 시간에 마누라 왈 "오늘 인터넷이 랙 걸리네"
이제 우리 집은 죽어도 인터넷이 안 뒤진다.ㅎㅎ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
코로나19가 이 시대의 패러다임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바꾸어버려,
직장인들은 집에서 화상회의를 하고, 학생들도 온라인 수업을 듣는 것이 일상이 되었는데,
2018년 KT 아현 지사 화재와 지난달 KT 인터넷 장애 시 확실하게 실감을 하였듯이,
인터넷이 다운되면 기업도, 학교도 모두 멈추어 버리는 세상이 되었다.
우리 집은 10월 25일 KT 인터넷 장애 후에도 지속적으로 회선이 불안정하여,
11월 1일엔 접속이 오락가락(Active-Inactive)하며 인터넷 속도가 100MB로 떨어졌으며,
다음날에도 간헐적으로 접속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인터넷 백업 시스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나는 UniFi UDMP 라우터에 KT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고 있어서, UniFi LTE Pro란 디바이스를 구매하면,
평상시엔 KT 인터넷선으로 서비스를 받다가, 장애가 발생하면 SKT LTE망으로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으로 결정했는데,
UniFi LTE Pro는 우리나라와 동일한 LTE와 WCDMA 밴드를 사용하고,
서드파트 USIM를 사용할 수 있는 유럽 스토어에서만 구입이 가능하여,
유로 환율(1,363원)과 부가세(19%)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지르고,
배송 대행료 20,672원과 관부가세 44,470원을 지불하고 내 손에 넣을 수가 있었다.
정작 메인인 UniFi LTE Pro 디바이스보다 서브인 USIM 구입에 더 많은 고심을 하였는데,
처음엔 LG U+ 알뜰폰의 월 7,700원짜리 10GB/월 USIM을 구입하였으나 LTE망 접속에 실패하고,
다시 SKT 알뜰폰의 월 8,250원짜리 3GB/월 USIM을 구입하여 LTE망 접속에 기어코 성공하였다.
유럽에서 날아온 UniFi LTE Pro를 개봉하자 내용물은 매우 심플하였는데,
똥구멍에 외부 안테나 단자, RJ45 PoE 포트 2개, USIM 슬롯이 있었으며,
당초엔 벽 거치를 생각했으나, 스탠드가 괜찮아서 통신단자함에 놓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설정과 테스트를 다룰 다음 편을 살짝 스포를 하자면 DOG삽질을 하였는데,
인생도 절대 한방이 없듯이, IoT 연결도 절대 한방에 넘어가는 일은 없더라.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0) | 2021.11.10 |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0) | 2021.11.05 |
지난주에 대학 새내기로 패션 디자인을 전공하는 둘째 녀석이 얼굴이 하얗게 되어서,
"아빠 아빠, 내 PC에서 포토샵이 안돼요"하며 달려와서 증상을 확인해보니,
포토샵 최신버전(v 22.5.2)에서 아주 오랜된 그래픽 카드는 지원하지 않는 모양이다. 헐~
그래서 블로그를 찾아보니 아이들 PC를 만들어준지( https://bit.ly/3H0uyvd ) 거의 10년이 되었고,
첫째 녀석도 대학교에 입학후 노트북을 사준 전례( https://bit.ly/3bPg6I5 )도 있어서,
요사이 대학생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LG 그램 노트북(17ZD95N-GX5SK)을
지마켓에서 장기 무이자 할부로 과감하게 질렀더니, 곧바로 그 다음날에 총알 배송이 되었다.
사전에 알고는 있었지만 이 놈은 정말로 깡통만 있었고, 유선랜 연결에 필요한 RJ45 to USB 커넥터 조차 없어서,
동네 이마트에 날라가서 커넥터를 구매후 윈도우, 오피스, 포토샵등을 거의 반나절에 걸쳐서 힘들게 설치하였다.
젊을땐 윈도우 설치하는 것이 매우 재미가 있었는데, 이제는 이 짓도 힘이 든것을 보니 나도 늙었나보다.
그래도 둘째 녀석이 좋아하는 것을 보니, 속으론 살짝 기분이 좋아진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0) | 2021.11.10 |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0) | 2021.11.05 |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7.17 |
나는 2012년부터 애플티비 3세대( https://bit.ly/3037IT9 )를 직구하여 처음으로 접하고,
4세대( http://bit.ly/2QeCEre ), 5세대( http://bit.ly/2IJrp6e )를 거치며 줄곧 사용하고 있는데,
한국 계정으론 볼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어서 Apple TV+ 미국 계정을 사용했었고,
가족 공유를 위해선 한국 계정의 Apple Music과 iCloud+를 구독하고 있어서,
한국 계정과 미국 계정 사이를 왔다리 갔다리 하는 것이 여간 불편하지 않았었는데,
애플티비가 국내 정발되면서 한국 계정으로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 가장 고무적이었다.
그래서 한국 계정으로 Apple TV+에서 'Dr 브레인'도 시청하여 보았고,
Apple Music을 홈팟으로 내보내며 음악 감상도 하였으며,
내일 모레 환갑이지만 호기심에 Apple Arcade도 구경하여 보았다.
팀쿡 아저씨, 내친김에 홈팟도 정발하여 조선말 좀 알아듣게 해주세요.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0) | 2021.11.05 |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7.17 |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 (0) | 2021.06.25 |
Apple One은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 iCloud Storage를 하나로 묶은 구독 서비스인데,
어제(11월 4일) 애플티비의 국내 정발과 함께 Apple One도 국내에 런칭되어,
그동안 개별로 사용하던 Apple Music, iCloud+ 200GB 요금제를 Apple One으로 뽁아 주었다.
Apple One이 개별 서비스 과금보다 약간 비용이 절약(우리집은 2,400원/월)되어,
내 아이폰의 '설정-이름-구독'에서 Apple One으로 한방에 변경하고,
기존 개별 서비스는 이번달 중간에 과금이 발생하여 취소하여 주었는데,
Apple One은 한달간 무료 체험후 다음달부터 통합되어 과금될 것으로 보인다.
Apple One은 약간의 비용 절약과 개별 과금의 번거로움을 줄여주어,
애플티비를 사용하는 아이폰 가족이라면 한번 고려해 볼 통합 구독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7.17 |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 (0) | 2021.06.25 |
시놀로지 C2 Storage for Hyper Backup (0) | 2021.06.25 |
오늘은 iOS를 15 beta3로 올리고 이것저것 만지다가 스마트 스택 위젯을 알게 되어,
스마트홈의 홈브릿지, 네타트모, 스마트싱스, 미홈 위젯을 연결하여 보았는데,
재미있어서 홈브릿지 위젯을 예로 들어서 연결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1. 스마트 스택 위젯 추가
위젯의 '편집'->'+'->'스마트 스택' 위젯 선택->'+ 위젯 추가'
2. 기본 위젯 삭제
스마트 스택 위젯에서 '스택 편집'->'-'->확인창에서 '제거'->빈 스택이 될 때까지 반복
3. 위젯 추가
스마트 스택 위젯에서 '+'->위젯(Scriptable) 선택->'+ 위젯 추가'
4. 위젯 편집
'위젯(Scriptable) 편집'->Script에 'HomeBridge1'을, When Interacting에 'Run Script' 선택
나름 재미있고, 예쁘고, 유용하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
---|---|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0) | 2021.11.05 |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 (0) | 2021.06.25 |
시놀로지 C2 Storage for Hyper Backup (0) | 2021.06.25 |
Apple OS 15 홈킷의 새로운 기능 살펴보기 (2) | 2021.06.13 |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Synology Hybrid Share)는
일반 데이터는 C2 Storage에 저장하고, 자주 억세스하는 데이터는 로컬 나스에 두어,
클라우드인 C2 Storage와 로컬 나스가 효율적으로 협업하는 솔루션인데,
아직은 베타 서비스라서 기존 시놀로지 계정으로 베타 프로그램 등록을 하고서,
C2 Storage 관리 화면에서 하이브리드 쉐어 폴더를 생성해야 하는데,
나는 1대의 시놀로지 나스만 보유하고 있어서 1TB를 통으로 잡았다.
그리고 로컬 나스의 '제어판-공유 폴더-생성'에서 'Hybrid Share 폴더 탑재' 선택하고, '시작-허용-다음'으로 넘어가고,
'Hybrid Share 폴더 암호화 설정'에선 암호화 키(Vault Key)를 2번 입력하고,
'기본 정보 설정'에선 설명(Comments) 정도를 입력하고,
'로컬 캐시 정책 구성'에서는 캐시 크기(ex. 500GB)를 입력한 후 '다음'을 누르고,
마지막으로 '사용자 권한 구성'을 마치면 하이브리드 쉐어 폴더가 탑재되는데,
자세한 방법은 제조사 문서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 https://bit.ly/3wYiULX
다음주에 DSM 7.0 정식 버전으로 올리고 본격적으로 테스트할 예정이어서 아직 확신은 없지만,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는 클라우드 C2 Storage와 로컬 나스가 협업하는 괜찮은 솔루션으로 보인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One 통합 구독 서비스로 갈아타기 (0) | 2021.11.05 |
---|---|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7.17 |
시놀로지 C2 Storage for Hyper Backup (0) | 2021.06.25 |
Apple OS 15 홈킷의 새로운 기능 살펴보기 (2) | 2021.06.13 |
애플 뮤직의 공간 음향과 무손실 오디오 설정하기 (0) | 2021.06.12 |
C2 Storage는 시놀로지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을 통칭하는데,
그 중 하나인 C2 Storage for Hyper Backup은 나스 Hyper Backup을
시놀로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솔루션이다.
C2 Storage for Hyper Backup 요금제는 총 4가지가 있었는데 1개월은 무료 평가판이고,
나는 중요 파일만 백업할 예정이라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인 9.99 달러/년을 선택하였다.
Hyper Backup은 시놀로지 나스의 대표적인 백업 패키지인데,
이 녀석의 소개는 과거 포스팅으로 갈음하고, - https://bit.ly/2JEuAA7
오늘은 C2 Storage for Hyper Backup만 간략하게 살펴볼 예정인데,
가입한 요금제에선 최근 백업 1벌(최초분 + 증분)만 저장할 수가 있더라.
그리고 C2 Storage for Hyper Backup의 관리 화면도 허접해서 별로 설명할 꺼리가 없다.
C2 Storage for Hyper Backup은 시놀로지 나스의 중요 파일을 클라우드에
저렴한 가격과 암호화된 방법으로 저장하는 보험 정도로 생각하면 맞을 듯 하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스마트 스택 위젯에 스마트홈 연결하기 (2) | 2021.07.17 |
---|---|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쉐어 (0) | 2021.06.25 |
Apple OS 15 홈킷의 새로운 기능 살펴보기 (2) | 2021.06.13 |
애플 뮤직의 공간 음향과 무손실 오디오 설정하기 (0) | 2021.06.12 |
iOS 15 개발자 베타 설치 방법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