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99건

  1. 2016.06.23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3.연동(Interlock) 7
  2. 2016.06.22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2.셋업(Setup) 4
  3. 2016.06.21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1.설치(Installation) 8
  4. 2016.06.16 필립스 휴(Philips Hue)의 가벼운 서드파트 앱인 '휴모트(Huemote)' 6
  5. 2016.06.12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4.라이트 스트립 플러스 5
  6. 2016.05.29 스마트싱스(SmartThings) 허브의 대시보드인 스마트타일(SmartTiles) 어플
  7. 2016.05.27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3.스마트홈 허브들과 연결 15
  8. 2016.05.26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2.무선 딤머스위치 킷 20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3.연동(Interlock)

|

 

마지막으로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각종 스마트홈 디바이스와 연동(Interlock)되는 모습을 살펴보기로 하자.

 

 

 

 

 

1. 애플 홈킷 (Homekit)

 

 

이번 어거스트 스마트락 프로젝트의 핵심은 애플 홈킷과 연동하여, 조선말로 방문을 잠그고 푸는 '열려라 참깨' 놀이인데,

애플 시리를 통하여서 방문을 잠그는 것은 성공을 하였는데, 방문을 푸는 것은 이 년이 잠금장치를 인식하지 못한다.ㅠㅠ

 

 

 

 

 

 

이 부분은 조금더 시간을 가지고, 다양한 언어와 단어를 사용하여서 테스트를 해 볼 예정이다.

 

 

 

 

 

2. IFTTT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트리거(This)로,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를 액션(That)으로 하는 IFTTT 레시피를 만들어 보았다.

즉, 방문의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풀리면(Unlocked), 공부방의 전등을 켜라(Turn on)라는 매우 간단한 레시피이다.

 

 

 

 

 

 

이 IFTTT 레시피는 매우 잘 작동하였으나, 대낮에도 방문이 풀리면 전등이 켜져서 일단은 'Disable'시켜 두었다.

 

 

 

 

 

3. 네스트 온도조절기 (Nest Thermostat)

 

 

어거스트 스마트락과 네스트 온도조절기를 연동시켰더니, 방문이 풀릴 때마다 네스트 온도조절기를 외출모드(Away Mode)로 바꿀지 물어온다.

 

 

 

 

 

 

북미에서는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주로 현관문에 설치를 하여서, 네스트 온도조절기의 외출모드와 연동을 시키는 모양인데,

나는 실내의 방문에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간단하게 연동테스트만 해보고 'Disable'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4. 인스테온+ 앱 (Insteon+ App)

 

 

필립스 휴 2.0 때와 마찬가지로 애플 홈킷을 지원하는 인스테온+ 앱(Insteon+ App)으로도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개폐(開閉)가 가능했다.

 

 

 

 

 

 

내가 '인스테온 허브 프로'만 보유하고 있어서 활용도는 매우 떨어지지만, 인스테온+ 앱(App)의 완성도는 매우 높아 보인다.

 

 

 

 

 

5. 로지텍 하모니 허브 (Logitech Harmony Hub)

 

 

어거스트 스마트락과 로지텍 하모니 허브와의 연동은 어거스트 커넥트(August Connect : WFI 연결 모듈)가 없어서인지 연결이 되지가 않더라.

 

 

 

 

 

 

어거스트 스마트락은 국내의 일반적인 도어락 턴피스(Turn Piece) 구조와는 조금 달라서 물리적인 설치가 매우 힘이 들었으며,

앱(App)의 구동시에 앱과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되는데 다소 주춤거리는 현상이 있었고,

내 경우에는 애플 시리(Siri)을 통한 음성명령에서 절반의 성공밖에 거두지 못한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스마트홈 시대에 어울리는 제품임에는 분명하지만, 아직 우리의 현관문을 온전히 맡기기에는 다소 시기상조로 보였다.

 

 

 

 

And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2.셋업(Setup)

|

 

이번에는 어거스트 스마트락(August Smart Lock)을 사용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셋업(Setup) 과정을 살펴보자.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물리적인 설치(Installation)를 마치고, 건전지의 탭을 제거하면 소리와 함께 불빛이 들어온다.

스마트폰에 미리 받아놓은 어거스트 스마트락 앱(App)을 구동시켜서 차분하게 진행하면 별 문제없이 셋업이 되더라.

 

 

 

 

 

1. 계정(Accout) 생성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계정이 필요한데, 사용자의 이름, 비밀번호, 사진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다음은 계정을 인증(Verification)하는 과정인데, 휴대전화번호와 이메일로 2번 한다.

그래서 반드시 국내에서 유효한 휴대전화번호와 이메일을 정확하게 입력하여야 한다.

 

 

 

 

 

2. 어거스트 스마트락 셋업

 

 

이제는 실제로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셋업(Setup)하는 과정인데, 펌웨어의 업데이트는 정말로 10분 가량 걸렸다.

 

 

 

 

 

 

그리고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수동으로도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Knob)를 잠금과 풀림 방향으로 최대한 움직이면서 눈금보정(Calibration)을 하였다.

 

 

 

 

 

3. 애플 시리(Siri) 셋업

 

 

마지막으로 어거스트 스마트락에 '열려라 참깨'를 하기 위하여 , 애플 홈킷(Homekit)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제품에 동봉되어 있는 8자리 설정 코드를 입력하면,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애플 홈킷에 철커덕 연결이 된다.

 

 

 

 

 

 

그리고 개조(Modify)하여서 변형된 어댑터와 플레이트의 백업으로 온전한 한 벌의 어댑터와 플레이트를 확보하고자,

짧은 발(足)영어 실력으로 어거스트사의 서포트(Support)에 이메일을 보내자, 곧바로 답신과 함께 총알같이 보내준다.

도어락의 작은 스프링 하나도 구하기가 어려웠던 국내 업체의 AS서비스에 비해서는 감동의 눈물이 날 지경이었다.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셋업 과정은 앱(App)에서 지시하는 대로만 진행하면 20분만에 오류없이 끝이 난다.

고생했던 물리적인 설치(Installation)에 비하여서 논리적인 셋업(Setup)은 거의 껌 수준이었다.

다음편에서는 어거스트 스마트락과 스마트홈 디바이스와의 연동(Interlock)에 대하여 포스팅 해보겠다.

 

And

어거스트 스마트락으로 '열려라 참깨'놀이 하기 - 1.설치(Installation)

|

 

이번에는 어거스트 스마트락(August Smart Lock)을 우리집 공부방 방문에 설치를 하고 '열려라 참깨' 놀이를 해보았다.

이제는 하다가 하다가 별짓을 다한다.

 

 

 

 

 

 

웹서핑을 하다가 어거스트 스마트락이 1세대에서 애플 홈킷(Homekit)을 지원하는 2세대로 업그레이드가 된 것을 알았다.

애플 시리(Siri)의 음성명령을 통하여서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잠그거나 풀 수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급 호기심이 발동한다.

 

 

 

 

 

 

어거스트 스마트락 1세대(August Smart Lock)와 2세대(August Smart Lock Homekit Enabled)의 차이점은

첫번째로 가격(199달러 VS 229달러)이고, 두번째로는 외형(음각 손잡이 VS 양각 손잡이)이겠지만,

세번째로 가장 큰 차이점은 애플 시리를 통하여 조선말로 '열려라 참깨'를 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하겠다.

 

 

 

 

 

 

나와 같은 해외직구족에게 200달러가 살짝 넘는 제품가격은 관부가세 때문에 애매하기 짝이 없는 금액이다.

그래서 고심끝에 아마존 웨어하우스 제품(중고 제품/반품 제품)을 195.49달러에 잡아 들였다.

 

 

 

 

 

 

일단은 용감하게 주문부터 날려 놓고서는 우리집 공부방에 달려 있는 'KOPAT'라는 도어락을 찬찬히 살펴보자,

도어락의 걸쇠(Deadbolt)와 안쪽손잡이(Thumb-latch)를 연결하는 턴피스(Turnpiece)의 생김새가 북미(北美)의 것과는 많이 다르다.

 

 

 

 

 

 

택배로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받아보자 포장박스는 조금 찌그러져 있었으나 외형 및 내용물은 별반 이상이 없어 보였다.

 

 

 

 

 

 

그래서 걸쇠(Deadbolt)와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연결하는 어댑터(Adapter)를 개조하기로 결심하였다.

뒷베란다에 쭈그리고 앉아서 실톱으로 자르고, 사포로 문지르고, 순간접착제와 피스로 결합하여,

두 개의 어댑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어댑터로 자작(自作)을 하였다. 무더운 날씨에 정말로 죽는 줄 알았다.

 

 

 

 

 

 

어렵사리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어댑터(Adapter)와 플레이트(Plate)를 방문에 설치를 했더니만, 이번에는 나사구멍이 맞지가 않는다.ㅠㅠ

그래서 일단은 3M 양면테이프로 임시로 시공하여 설정(Setup)을 완료하고, 드릴로 나사구멍을 천공하여서 영구적인 설치를 완료하였다.

 

 

 

 

 

 

50중반의 나이에 세째를 만들 일은 죽어도 없기 때문에, 집안에서 방문을 잠글 일은 전~혀 없었지만,

'열려라 참깨' 놀이를 하겠다는 DOG같은 집념으로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물리적인 설치에 성공하였다.

 

August_SmartLock_HomeKit_Edition_Installation_Guide.pdf

 

 

 

 

 

 

어쨌든 국내의 열쇠쟁이들도 구경을 못하여 보았을 어거스트 스마트락을 셀프 설치한 것에 대하여 만족한다.

다음편에서는 어거스트 스마트락의 설정 및 다양한 스마트홈 디바이스와의 연동에 대하여 포스팅을 해볼까 한다.

 

 

 

And

필립스 휴(Philips Hue)의 가벼운 서드파트 앱인 '휴모트(Huemote)'

|

 

우리집에서는 내가 IT관리자(IT administrator)이고, 마누라와 아이들은 단순사용자(users)들이다.

그래서 스마트홈과 관련된 앱들은 나의 테스트를 거쳐서, 프로덕션(마누라와 아이들의 스마트폰)에 이관된다.

 

 

 

 

 

 

보통 스마트홈 디바이스 제조사들의 오리지널 앱은 무지하게 무거워서 단순사용자들이 쓰기에는 너무 과하다.

 

그 이유는 첫째, 디바이스를 설정(Setup)하는 관리(administration) 기능이 들어가 있어서 그렇다.

전등을 단순하게 켜고 끄기만 하면 되는 마누라와 아이들은 관리 기능이 전~혀 필요가 없다.

 

 

 

 

 

 

둘째, 원격(외부)에서 디바이스를 켜고 끄는 리모트(remote) 기능이 들어가 있어서 그렇다.

마누라가 커피숍에서 수다를 떨다가, 아이들이 학교에서 공부를 하다가 집안의 전등을 켜고 끌 일은 죽어도 없다.

 

 

 

 

 

 

세째, '사바나의 일몰', '적도의 석양'등 연출장면(scene)의 치장(decoration) 기능이 들어가 있어서 그렇다.

처음 일주일은 폼을 잡기 위하여 연출장면을 사용하지만, 그 후엔 아주 단순하게 전등을 켜고 끄기만 하더라.

 

 

 

 

 

 

그래서 앱스토어에서 필립스 휴의 서드파트 앱을 2-3개 테스트 해보고서는 '휴모트(Huemote)'라는 앱으로 거의 낙점을 했다.

이 놈은 집안(Local)에서 Read Only 모드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져서, 앱이 매우 가볍고 디바이스의 반응속도도 무척 빠르더라.

앞으로 2-3일 가량 테스트를 조금더 해보고서 프로덕션으로 이관할 예정이다.

 

 

 

And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4.라이트 스트립 플러스

|

 

지난달에 필립스 휴 브릿지를 2.0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서는 나름 만족스러워서

라이트 스트립 플러스(Lightstrip plus)와 칼라 및 화이트 전구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았다.

 

 

 

 

 

 

이번에도 미국 아마존에서 라이트 스트립 플러스 1개, BR30 칼라 전구 1개, 화이트 전구 4개를 192달러에 구매하였다.

 

 

 

 

 

 

라이트 스트립 플러스는 2m짜리 LED 띠전구인데, 확장모듈(extensions)로 10m까지 연결이 가능하단다.

 

 

 

 

 

 

BR30 칼라 전구는 주방 식탁등의 전구를 교체하기 위하여 영입하였다.

 

 

 

 

 

 

화이트 전구는 거실 내자리의 독서등과 드레스룸의 전구 3개를 모두 교체하였다.

 

 

 

 

 

 

2세대 라이트 스트립 플러스는 확실히 1세대 필립스 휴 블룸(Bloom)에 비하여 밝기는 많이 개선된 느낌이다.

 

 

 

 

 

 

라이트 스트립 플러스를 TV장식장 뒤에 설치했더니만, 거실이 완전히 무당집이 되었다.ㅋ

내가 스마트홈에서 중요시하는 실용하고는 거리가 한참 멀지만 야간에 뽀대는 죽여준다.

 

 

 

 

 

 

필립스 휴 2.0은 앱의 전환시에 잠깐잠깐 랙이 걸리고, 원격에서 클라우드를 통한 접속이 하세월일 경우가 있었지만,

1세대 필립스 휴에 비해서는 많이 발전하여서, 집안의 보조조명으로 사용하는데는 괜찮은 솔루션으로 보인다.

 

 

 

 

 

And

스마트싱스(SmartThings) 허브의 대시보드인 스마트타일(SmartTiles) 어플

|

 

집안에 스마트홈 디바이스들이 하나둘씩 늘어나면서,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에 연결된 장치들도 꽤나 많아졌다.

예전부터 스마트싱스 허브의 대시보드인 스마트타일 어플에 대해서 알고는 있었으나,

그동안 스마트싱스 허브가 띨빡하여서 신경을 끄고 지내다가, 요즈음은 많이 똑똑해져서 스마트타일 어플을 재설치 하였다.

 

 

 

 

 

 

우리집 스마트홈의 커다란 4개의 축은 벨킨 위모, 필립스 휴, 포스캠 카메라, 네타트모 웨더스테이션이다.

조명은 벨킨 위모 라이트 스위치 4개, 필립스 휴 칼라 4개, 필립스 휴 화이트 4개가 담당하고 있으며,

콘센트 전기의 개폐는 벨킨 위모 스위치 8개, 벨킨 위모 모션 센서 3개가 처리하고 있다.

그리고 포스캠 카메라 4대가 집안 모니터를, 네타트모 웨더스테이션은 잡안밖의 온도 및 습도등을 감지한다.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가 다양한 밴더의 스마트홈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어플에서 통합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모니터링 시스템의 대시보드처럼 한 눈(目)에 모든 디바이스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약간 불편했다.

 

 

 

 

 

 

그래서 몇개월만에 PC(맥북), 태블릿(아이패드 미니), 스마트폰(아이폰)에 스마트타일 어플을 재설치하여 보았다.

다양한 밴더의 스마트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스마트싱스 허브에서 동기화만 정확하게 해주면,

스마트타일 어플에서는 스마트싱스 허브의 클라우드에서 데이타를 긁어와서 한 화면에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백문(百問)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다. 눈으로 보는 것이 제일로 이해하기가 빠르다.

PC(맥북), 태블릿(아이패드 미니), 스마트폰(아이폰)의 화면을 캡처하여 연결하였다.

 

아무래도 한 화면에 모든 디바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PC가 대시보드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여 보였다.

국내에도 올해 하반기에 스마트싱스 허브가 판매되면, 스마트홈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이 된다.

 

 

 

 

 

And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3.스마트홈 허브들과 연결

|

 

필립스 휴 2.0 브릿지로 업그레이드를 하고서는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홈 허브(SmartHome Hub)들과도 연결하여 보았다.

 

 

 

 

 

 

작업을 간단하게 하고자 필립스 휴 2.0 브릿지의 IP주소를 1.0 브릿지의 IP주소와 동일하게 할당을 하였지만,

필립스 휴 브릿지의 기계 주소(Mac Address)가 바뀌어서 모든 스마트홈 허브들을 재설정하여야 했다.

우리집에는 내가 가지고 노는 디바이스들이 많아서 재설정을 하는데 정말로 토가 나오는 줄 알았다.ㅠㅠ

 

 

 

 

 

 

필립스 휴 2.0의 마지막 포스팅에서는 설정등 복잡하고 머리아픈 이야기들은 접어두기로 하고,

그저 '필립스 휴 전구들이 다양한 스마트홈 허브와도 연계가 되는구나' 정도로 이해하시길 바란다.

그래서 스마트홈 허브별로 간단하게 시연 동영상을 만들어서 올려보니 편안하게 감상하시길 바란다.

 

 

 

 

 

1.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Samsung Smartthings Hub)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가 1세대 및 2세대의 초반에는 너무나도 허접하여서 창밖으로 집어 던질 뻔 하였으나,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거쳐서 이제는 많이 좋아져서 우리집 통합 스마트홈 허브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그러나 아마존 에코처럼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중복하여 그룹핑(Grouping)을 허용한다면 더욱 편하게 사용하지 싶다.

 

 

 

 

 

2. 아마존 에코(Amazon Echo)

 

 

아마존 에코에서는 삼성 스마트싱스에서 정보를 넘겨 받아서 설정을 하였는데,

아마존 에코도 자동으로 집안의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중복하여 설정이 되더라.

 

 

 

 

 

 

내 영어 발음이 후지기는 하지만 아마존 에코가 'Bed Room'이라는 단어를 죽어도 인식하지 못하더라.

아마도 Reserved Word로 설정되어 있나 보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침실을 'Dream Room'이라고 명명했다.

 

 

 

 

 

3. 로지텍 하모니 허브(Logitech Harmony Hub)

 

 

로지텍 하모니 허브는 거실에서 AV기기들을 통합으로 제어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여서 개인적으로 무척이나 예뻐라하는 장치이다.

 

 

 

 

 

 

로지텍 하모니 허브가 필립스 휴와는 직접 API로 연동이 되어서 별 문제가 없었지만,

벨킨 위모(Belkin Wemo)와는 스마트싱스 허브를 통해서 연동되어 오류가 많았었는데,

이제는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가 많이 좋아져서 그런데로 빠르게 동기화가 되고 있다.

 

 

 

 

 

4. 인스테온 허브 프로(Insteon Hub Pro)

 

 

지난해에 애플 홈킷과 연동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구매를 하였으나, 인스테온 디바이스는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거의 무용지물이었다가.

이번에 필립스 휴 2.0 브릿지가 애플 홈킷과 연동이 되어서 혹시나 하고 인스테온 앱을 살펴보자 자동으로 필립스 휴 전구를 인식하였다.

 

 

 

 

 

 

아마도 물리적으로 인스테온 허브 프로가 없어도, 인스테온 프로 앱(Insteon Pro App)이 필립스 휴 2.0 전구들은 인식을 하리라 생각된다.

 

 

 

 

 

 

여러 스마트홈 허브들이 필립스 휴 2.0과의 연동에는 일장일단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는 통합성 및 편리성 때문에 삼성 스마트싱스 허브와 아마존 에코를 많이 사용할 듯 싶다.

 

필립스 휴 2.0에서 보았듯이 애플 홈킷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많아지면,

사물인터넷(IoT)스마트홈 분야에서도 많은 변화와 발전이 예상된다.

 

 

 

 

And

필립스 휴(Philips Hue) 2.0 - 2.무선 딤머스위치 킷

|

 

필립스 휴 2.0 브릿지로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무선 딤머스위치 킷(Wireless dimmer kit) 4개도 함께 구입하여서,

 각 방의 독서등을 필립스 휴 화이트 전구(Philips Hue white A19 Bulb)로 교체하고,

침대 머리에는 필립스 휴 딤머스위치(Philips Hue dimmer switch)를 달아 주었다.

 

 

 

 

 

 

우리집 각 방의 침대 머리엔 이케아 플로어 램프를 설치하여 독서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독서등에는 굳이 비싼 칼라 전구가 필요 없고, 집사람과 아이들은 편리하게 딤머스위치를 사용하도록,

화이트 전구와 딤머스위치가 함께 포장된 무선 딤머스위치 킷을 170달러에 4개를 구입하여 설치하였다.

 

 

 

 

 

 

무선 딤머스위치 킷에 들어있는 필립스 휴 화이트 전구도 100-240V / 50-60Hz를 지원하여서 국내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필립스 휴가 가전제품을 만드는 회사답게 화이트 전구를 독서등 스탠드에 꼽고, 딤머스위치의 건전지 탭을 제거하자 곧바로 작동했다.

 

 

 

 

 

 

무선 딤머스위치 킷에는 딤머스위치 1개와 화이트 전구 1개가 달랑 들어 있었고,

딤머스위치는 플레이트와 분리하여 리모콘처럼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딤머스위치를 2.0 브릿지에 연결하는데, 어떤 놈은 한방에 나이스하게 연결되는데 또 어떤 놈은 2-3번에 힘들게 연결된다.ㅠㅠ

 

우리집의 둘째녀석은 밤에 종종 독서등을 끄지 않고서 잠이 드는 버릇이 있어서,

필립스 휴의 자체 스케줄러로 자정에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였으며, 다시 한번 IFTTT로 12시15분에 꺼지도록 철통같이 설정을 하였다.

 

 

 

 

 

 

딤머스위치는 건전지가 필요 없는 필립스 휴 탭스위치(Tap Switch)와는 다르게 CR2450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이 되며,

플레이트 뒷면에 부착된 자석의 힘으로 플레이트에 합체가 될 수도 있고, 리모콘처럼 분리하여 사용도 가능하다.

 

 

 

 

 

 

각 방에 놓여있는 딤머스위치들이 헷갈리지 않도록 뒷면에 칼라 스티커를 붙여서 구분을 해두었다.

 

우리집에선 서열대로 디바이스의 이름(Naming rule)을 위한 고유의 순번과 색상을 가지고 있는데,

내가 당근 1번 파란색, 마누라가 2번 초록색, 첫째녀석이 3번 주황색, 네째녀석이 4번 노란색이다.

 

 

 

 

 

 

딤머스위치의 'On버튼'에는 사전에 정의한 5개의 시나리오(휴식, 독서, 집중, 활력, 마지막 상태)를 설정하여 놓았고,

'Dim up 버튼'은 조도를 밝게, 'Dim down 버튼'은 조도를 흐리게, 'Off 버튼'은 필립스 휴 전구를 끄는 스위치이다.

 

그런데 이 놈의 딤머스위치는 한 방(room)의 모든 필립스 휴 전구를 동시에 켜고 끄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는 모양이다.

이 문제는 필립스 서포트(Philips support)에서 확인하여 천천히 해결할 요량이다.

 

 

 

 

 

 

필립스 휴 딤머스위치는 IT에 익숙하지 않는 마누라와 아이들이 전구를 쉽게 켜고 끌 수 있는 괜찮은 솔루션이지 싶다.

하기야 우리들도 깜깜한 밤에 스마트폰을 찾아서 전등을 켜고 끄는 것보다 전통적인 방식인 스위치가 휠~씬 편하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