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398건
- 2021.11.29 WiFi 6에 대비하여 UniFi U6-LR AP로 업그레이드
- 2021.11.24 UniFi G3 Instant 카메라에 옷을 입히다
- 2021.11.21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정리하기
- 2021.11.20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15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 2021.11.14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 2021.11.14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 2021.11.10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WiFi 6 디바이스가 단 1대도 없는 주제에 향후를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우리 집 홈네트워크의 메인 AP를 UniFi U6-LR AP로 업그레이드를 하였는데,
사실은 U6-LR이 기존 AC-LR에 비하여 무선 속도는 124% 증가하고,
무선 커버리지는 2배가 향상된다는 사탕발림에 홀라당 넘어간 것이다.
AP 재배치는 1) 기존 AC-LITE 1대를 퇴역시키고, 2) 메인 AP였던 AC-LR을 빠진 자리로 이동시키고,
3) U6-LR을 메인 AP 자리에 신규 위치시키는 단순 작업인데, 처음 생각처럼 간단하게 끝나지는 않았다.
U6-LR을 UniFi US 스토어에서 179달러에 구매하여 배대지를 통하여 받아 보니,
확실히 과거 AC-LR 또는 AC-LITE에 비하여 많이 크고(220mm) 많이 무겁더라(800g).
일단 통신 단자함의 PoE 포트에 연결하여 Adoping과 초기 설정을 마치고,
이틀간 단위 테스트도 확실하게 하였는데, 개뿔 아무 소용이 없었다.
여유로운 휴일 아침에 설치 가이드를 참조하여 브라켓을 고정하고,
물리적으로 AP들을 이동 후 라우터와 AP들을 모두 리부팅하였는데,
디바이스들이 신규(U6-LR)와 이동(AC-LR) 설치한 AP에 전혀 못 붙는다.ㅠㅠ
처음에는 AP의 Country Lock을 의심하여 지역을 미국으로 바꾸어도 여전하였는데,
반나절을 씩씩거리다 일전 디바이스에 고정 AP(저속 IoT 디바이스들은 가까운 AP에 수동 할당) 설정을
활성화했던 것이 불현듯 떠올라서, AP들을 원복하고 고정 AP 설정을 모두 비활성하자 철커덕 붙는다. 썩~을
그리고 이번 기회에 AP 설정값들도 조금 바꾸었는데,
저속 IoT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2.4 Ghz는 SSID를 감추고(Hide WiFi Name),
고속 이동형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5.0 Ghz는 Fast Roaming (802.11r) 옵션을 활성화시켰다.
WiFi 6를 지원하는 AP로 업그레이드를 하였더니, 이제는 WiFi 6 디바이스들이 막 눈에 들어온다.
참으로 고질병이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집도 WiFi 6와 5G 시대를 열다 (0) | 2021.12.02 |
---|---|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4에서 AppleTV와 Disney+ 구경하기 (4) | 2021.11.30 |
UniFi G3 Instant 카메라에 옷을 입히다 (0) | 2021.11.24 |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정리하기 (0) | 2021.11.21 |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20 |
오늘은 우리 집 거실과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UniFi G3 Instant 카메라에 옷을 입혀 보았다.
UniFi G3 Instant 카메라는 29달러의 저렴한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화질, 다양한 기능과 더불어 홈브릿지를 통하여 홈킷과도 연동되는데,
지난주 UniFi 6 LR AP를 구매하면서 관부가세 한도가 남아서, 단순 호기심에 장바구니에 넣었다.
G3 Instant Cover는 카메라에 씌우는 고무 재질의 커버인데,
세관에선 처음 보는 물건이었는지 박스를 개봉한 흔적이 보이더라.
착용은 카메라 브라켓을 풀어서 대가리부터 씌워주고, 다시 브라켓을 결합하여 전원을 연결하면 땡이다.
G3 Instant Cover는 카메라 기능과는 1도 상관이 없지만,
겨울옷을 착용한 모습이 살짝 귀여워서 내심 흐뭇하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4에서 AppleTV와 Disney+ 구경하기 (4) | 2021.11.30 |
---|---|
WiFi 6에 대비하여 UniFi U6-LR AP로 업그레이드 (0) | 2021.11.29 |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정리하기 (0) | 2021.11.21 |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20 |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0) | 2021.11.15 |
애플티비의 국내 정발 전엔 거의 나 혼자만의 장난감이었는데,
이제는 가족들도 애플티비의 Watcha, Disney+등의 어플로 영화를 감상하여서,
여유로운 휴일 아침에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모아서 예쁘게 정리를 하였다.
정리 방법은 스마트폰에서 어플들을 폴더별로 모으는 것과 완전 동일하나, 손가락 대신 애플 리모트로 하는 것이 조금은 다르겠다.
애플티비 홈(바탕) 화면에 있는 어플을 폴더로 이동하는 방법
1. 애플 리모트로 해당 어플을 꾹~ 누름 (어플이 흔들거림)
2. '플레이 & 포즈 버튼'을 누르면 이동할 폴더들이 보임
3. 이동할 폴더를 선택하여 살짝 누르면 끝.
어떠한 인터페이스던 스크롤 없이 한 화면에 보이는 것이 제일 깔끔하고 찾기가 쉽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Fi 6에 대비하여 UniFi U6-LR AP로 업그레이드 (0) | 2021.11.29 |
---|---|
UniFi G3 Instant 카메라에 옷을 입히다 (0) | 2021.11.24 |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20 |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0) | 2021.11.15 |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오늘은 애플티비에서 국내 OTT 서비스인 Watcha와 Wavve의 자막, 화질, 음질을 간단하게 비교해 보았다.
테스트는 예전에 내가 좋아했던 HBO의 드라마 시리즈인 '밴드 오브 브라더스'로 했는데,
자막은 Watcha가 한국어와 영어를 선택할 수 있었던 반면에,
Wavve는 선택이 불가하여 Watcha에 약간 높은 점수를 주고 싶고,
화질(FHD 기준)과 음질은 내 비록 동태눈에 막귀이지만,
Wavve가 밝은 화질에 음량도 더 커서 Wavve가 더 우수해 보였다.
이달 초 애플티비가 정발 되면서 국내 OTT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어서,
애플티비의 활용도가 한층 올라간 점이 10년 애호가로서 매우 기분 좋다.
그런데 젊은 시절에 동네마다 있었던 비디오 가게는 다 어디로 갔을까?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Fi G3 Instant 카메라에 옷을 입히다 (0) | 2021.11.24 |
---|---|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정리하기 (0) | 2021.11.21 |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0) | 2021.11.15 |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최근 애플티비에 AppleTV+, Disney+와 같은 해외 OTT 서비스가 시작되어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났는데,
우연히 애플티비 앱스토어에서 우리 집 네트워크 카메라인 UniFi Protect 어플을 발견하여 설치해 보았다.
단순하게 UniFi Protect에서 애플티비로 네트워크 카메라 화면을 가져오는 어플에 불과하지만,
애플티비와 연결된 대형 TV 화면으로 네트워크 카메라를 모니터링하는 공짜 솔루션으론 괜찮아 보인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티비 어플을 폴더별로 정리하기 (0) | 2021.11.21 |
---|---|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20 |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0) | 2021.11.10 |
애플 홈팟 미니의 신규 색상인 블루와 오렌지를 즉흥적으로 구매하고,
기존 블랙과 화이트를 재배치하여 각 방에 인터컴을 구축하여 보았다.
애플 공홈에서 홈팟 미니의 블루와 오렌지가 예뻐서 개당 99달러에 구매 후,
배송 대행료 16,700원을 추가로 지불하고 내 손에 넣을 수가 있었다.
홈팟 미니의 언박스와 설정은 지난해 블랙과 화이트 때와 완전 동일하니 과거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애플 홈팟 미니 (HomePod mini) - 1. 구매 및 설정
오늘은 지난달에 사전 주문하였던 애플 홈팟 미니 검둥이와 흰둥이가 도착하여 잠시 만나 보았다. 애플 홈팟 미니는 우리 시각으로 11월 7일 22시부터 애플 공홈에서 사전 주문(Pre-Order)을 받았는
www.sejunine.com
마누라와 자식 빼고는 새 것에 환장한 놈이라 홈팟 펌웨어도 최신(15.2) 버전으로 올리고,
우리 집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들어오면 항상 거치는 관문인 '고정 IP 등록식'도 간단하게 치렀다.
그리고 거실 후면에 스테레오로 설치되어 있었던 기존 블랙과 화이트도 모드를 풀어서,
공부방과 침실로 이동 배치하고, 블루는 큰녀석 방에 오렌지는 작은녀석 방에 설치하고,
각자 방 침대에 디비져서 음악 감상 및 인터컴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애플 홈팟의 새로운 기능 - 1. 인터컴(Intercom)
오늘은 애플의 AI스피커인 홈팟(HomePod)의 새로운 기능인 인터컴(Intercom)을 테스트하여 보았다. 홈팟 인터컴은 지난 10월 애플 이벤트에서 홈팟 미니(HomePod mini)와 함께 선보인 기능인데, 구글홈의
www.sejunine.com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색상... 좌우지기 예쁘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티비에서 Watcha와 Wavve 간단 비교기 (4) | 2021.11.20 |
---|---|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0) | 2021.11.15 |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0) | 2021.11.10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OTT 서비스인 AppleTV+의 국내 상륙에 이어서, 북미 OTT 5위인 Disney+도 국내 서비스가 시작되어,
어젯밤 완전 꽐라가 되어서 귀가했음에도 새벽같이 일어나서 애플티비에서 Disney+를 구경하여 보았다.
Disney+의 가입은 애플티비에서 보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기에,
내 스마트폰에 Disney+어플을 다운로드하여서, 페이스 ID로 간단하게 가입하였는데,
Disney+도 AppleTV+처럼 무료 구독 기간이 있을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이놈들은 얄짤없어서 1개월을 구독하고, 나중에 잊을 가봐 곧바로 해지하였다.
개인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카탈로그와 Pin 정도만 설정하면 곧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메뉴는 크게 6개(Disney, Pixar, Marvel, StarWars, National Geographic, star)로 구분되어 있었는데,
영화 종류는 그리 다양하지는 못해서 아이들이 강력하게 요청하지 않는다면 재구독은 안 할 듯싶다.
AppleTV+, Disney+등 해외 OTT 서비스의 국내 상륙으로 애플티비의 활용도가 높아진 것은 고무적이나,
중국말, 일본말도 알아듯는 홈팟에서 조선말 서비스도 하루빨리 시작하길 애플에 강력하게 요구하는 바이다.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티비의 UniFi Protect 어플 (0) | 2021.11.15 |
---|---|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2. 설정 및 테스트 (0) | 2021.11.10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오늘은 1편 검토 및 구매기에 이어서, 진짜 핵심인 2편 설정 및 테스트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UniFi LTE Pro(이하 ULP)가 국내 도착 전 알뜰폰 허브라는 곳을 통하여 구입한 LG U+ USIM을 조심스럽게 슬롯에 삽입한 후,
ULP를 유니파이 컨트롤러에 연결(adopting)을 시도하였으나 USIM 자체를 인식하지 못해서,
'정말로 X 됐다'는 심정으로 폭풍 구글링을 해보자, 지구 상엔 나와 비슷하게 삽질하는 놈이 반드시 있었는데,
나는 유니파이 컨트롤러에서 수동 Backup/Restore를 위해서 클래식 UI를 즐겨 사용하는데,
ULP 연결을 위해선 New UI를 권유하여 그대로 따라 하자 첫 번째 산은 넘겼다. - https://bit.ly/3mYVpzN
연결(adopting)과 USIM 인식까지는 넘어갔으나, LG U+ LTE망을 계속 탐색만 하는 현상이 발생해서,
내 아이폰의 KT USIM으로 교체하여 테스트를 해보니 한 번에 KT LTE망에 연결되고 대기 상태가 되더라.
우리 집 4 식구는 모두 KT 사용자라 급 IoT 카페에 도움을 요청하니 멀리 안산에서 'CORSAIR'님이
SKT USIM, SKT 알뜰폰 USIM, LG U+ 태블릿 USIM을 가지고 오셔서 함께 테스트를 하였는데,
결론은 KT와 SKT USIM은 정상적으로 ULP에 연결되나, LG U+ USIM은 연결되지 않아서,
'CORSAIR'님과 테스트해서 확실하게 검증된 SKT 7 모바일 알뜰폰 유심을 신규 개통하여,
ULP에 SKT USIM을 삽입하고 전원을 연결하자, WCDMA를 거쳐서 LTE에 철커덕 연결된다. 썩~을
ULP 설정은 통신사별 APN 주소(SKT는 'lte.sktelecom.com') 입력은 필수이며,
월 데이터 사용량 한계치(Limit)와 경고치(Warning)를 넣어 주는 것은 선택이다.
그러면 유니파이 컨트롤러의 메인 화면에 ULP가 나타나고, 인터넷 메뉴에도 ULP가 표시된다.
평상시 KT 인터넷 회선으로 서비스를 받을 땐(왼쪽 화면) ULP는 대기 상태로 있다가,
인터넷 장애가 발생하면(오른쪽 화면) ULP가 활성 상태로 바뀌며 LTE망으로 서비스를 받게 된다.
KT 인터넷 회선을 라우터 WAN 포트에서 뽑으면 대략 1-2초 후 SKT LTE망으로 자동 전환이 되었으며,
다시 KT 인터넷선을 연결하면 비슷하게 1-2초 후 KT 인터넷망으로 자동 원복이 되더라.
빨리 테스트를 하고픈 마음에 마누라가 인터넷 강의를 듣는 줄을 까맣게 잊고서,
인터넷선을 2-3번 뽑았다가 다시 연결했는데, 쉬는 시간에 마누라 왈 "오늘 인터넷이 랙 걸리네"
이제 우리 집은 죽어도 인터넷이 안 뒤진다.ㅎㅎ
'Io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홈팟 미니 블루와 오렌지 (0) | 2021.11.14 |
---|---|
애플티비에서 Disney+ 구경하기 (0) | 2021.11.14 |
UniFi LTE Pro로 인터넷 백업 시스템 구축기 - 1. 검토 및 구매 (0) | 2021.11.09 |
둘째 녀석의 노트북을 장만해주다. (0) | 2021.11.08 |
10년을 기다린 애플티비 정발과 한국 계정 (0) | 2021.11.05 |